Number of articles: 33

"말씀하신 대로 되살아나셨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의 복음 이야기를 묵상하려고 전자책을 제공합니다. 십자가로 가는 길을 "비아 크루시스"라고 부른다면, 부활하신 후 승천하실 때까지의 길은 "비아 루시스", 즉 "빛의 길"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뉴스

"그리스도의 죽음은 그리스도인의 삶"

수난에 대해서 성 호세마리아께서 하신 묵상. 그리스도인들이 전통적으로 성주간이라고 부르는 이번 주간에 우리에게는 또 다른 기회가 주어집니다. 바로 예수님 삶의 마지막 시간들을 되돌아보고 다시 체험하는 기회입니다.

베타니아. 라자로의 무덤.

복음은 예수님께서 머리 누일 곳조차 없다고 말하고 있지만 또한 예수님을 서로 자신의 집에 모시고 싶어 하는 좋은 친구들이 많았다고 전합니다. 그런 친구들로 가장 손꼽을 만한 사람들은 베타니아에 살고 있던3남매 마르타, 마리아, 라자로였다.

호주에서 온 레베카. "제 직업은 사람들을 돌보는 것입니다."

사람들을 돌볼 수 있고 싶었어요. 제 직업은 사람들을 돌보는 것입니다. 그것은 각 사람에 대한 신의 사랑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누구이든 상관없습니다.

오푸스데이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을 준비

성 호세마리아께서 쓰셨던 "내적 투쟁" 강론.

영적독서

“사제는, 그가 누구든 언제나 또 한분의 그리스도입니다.” “봉사하기 위해 사제가 되십시오."

2025년 3월 27일에,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의 사제 서품 100주년을 기념하여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사제의 신성함과 사명” 강론을 하셨습니다.

윤학 변호사. "내가 가지고 있는 '가치'의 실천이 바로 '일'이며 '사랑'입니다."

도림동 교육센터에서는 'SOL 월례 담화' 의 모임을 가졌다. SOL 은 Sanctification of Ordinary Life (일상 생활의 성화) 라는 오푸스데이의 핵심 영성을 의미한다.

증언

성 호세마리아 사제 서품 받았던 100주년을 기념으로 맞춰서 그의 전구로 새로운 사제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1925년 3월 28일, 그는 아버지를 애도하면서 - 신학교 성당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도림동교육센터에서 서형숙 작가님. "아이들을 기다려 주고 친구처럼 함께 걸어가는 ‘달콤한 육아’와 ‘편안한 교육’은 어렵지 않다".

아이들을 기다려 주고 친구처럼 함께 걸어가는 ‘달콤한 육아’와 ‘편안한 교육’은 아이의 성장을 보다 성숙하게 되도록 돕고 나아가 행복한 가족을 이루는 결코 어렵지 않은 일임을 그러나 결단이 필요한 과정임을 작가님은 강조하였다.

증언

11월 23일, 후고 니코라오 바르바로에 의한 오푸스데이 부제 서품식

오푸스 데이 신자 20명이 성 로케(아르헨티나) 교구장인 후고 니콜라오 바르바로 주교에 의해 부제 수품될 것입니다. 11월 23일 오전 10시 30분(CET)에 로마 성 에우제니오 대성당에서 거행될 예정입니다.